바이러스병
1. 병 징
♣ 사과잎반점바이러스
잠복되어 병징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초봄에 엷은 반점증상을 나타내며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병징이 은폐됩니다.
이 바이러스의 강독계통과 Apple stem pitting virus 강독계통이 중복감염 되었을 경우, 사과 과실에 둥근반점을 나타냅니다. 환엽대목에 접목시 고접병이 발생합니다.
♣ 사과 고접병
감염된 나무는 일반적인 쇠약증상을 나타내고 잎이 작아지며 점진적으로 황화, 조기낙엽, 꽃이 많이 피고 과실이 작아집니다.
줄기를 가로로 잘라보면 방사상으로 고랑이 진 나이테를 볼 수 있습니다.
껍질은 비정상적으로 두꺼우며 길이로 갈라집니다. 과실은 정상보다 짧고 기형이며 홈이 파입니다.
♣ 사과 모자이크병
봄에 연한 노란색에서 크림색의 얼룩, 반점, 윤문을 형성합니다. 엽맥을 따라 황화되며 잎주위가 갈변되고 심하게 감염된 잎은 조기낙엽됩니다.
Apmv(사과모자이크바이러스병)의 병징과 피해는 품종과 계통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병성인 품종에 병원성이 강한 계통은 연한 노란색이나 잎맥녹색 또는 크림색 얼룩, 대소의 반점이나 윤문을 형성합니다. 잎맥을 따라 황화되며 잎주위가 갈변되고 일찍 낙엽됩니다.
병원성이 약한 계통은 이병성 품종에 약간의 병반만 형성 할 뿐 아니라 병원성이 강한 계통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봄이나 초여름에 발생하는 잎에는 병징이 나타나나 여름에 발생하는 잎에는 병징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병성인 품종에서는 병징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도 성장피해, 수량감소를 가져옵니다. 진딧물 피해. 미량요소 결핍 등에 의한 피해와 구별하여야 합니다.
사과모자이크병의 병징은 나무전체에 균일하지 않으며 가지에 따라 병징이 나타납니다.
과수가 바이러스에 걸리면 초본류 같이 병징이 단기간 내에 나타나는것이 아니라 서서히 생육저하, 수량저하, 품질저하 등이 나타납니다.
2. 병원체
♣ 잎반점병:사과잎반점바이러스(Apple chlorotic leaf spot virus. ACLSV)
♣ 고접병:사과줄기구멍바이러스(Apple stem pitting virus. ASPV)
♣ 모자이크병:사과모자이크바이러스(Apple mosaic virus. APMV)
3. 발생생태
♣ 잎반점병: 아접, 접목, 삭아접에 의해 전염되며 즙액전염에 의해 명아주 등 초본식물에 순화된 바이러스로 사과 어린 유묘에 즙액전염이 가능합니다.
수체내 바이러스 분포는 불균일하며 5~10개의 눈을 가진 단가지에서는 거의 전부가 감염되어 있으나, 20~40개의 눈을 가진 장가지에는 건전부분이 많으며 가지 끝으로 갈수록 건전 눈이 많습니다. 꽃이나 열매에 바이러스의 농도가 높으며 잎에는 농도가 낮습니다.
재식된 나무와 나무의 접촉이나 사람에 의하여 전염되지 않으며 토양 전염은 되지 않습니다.
♣ 고접병: 병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나무로부터 와서 감수성 대목에서 자란 나무에 고접될 때만 전파됩니다.
사과 잠재 바이러스에 대해 검증되지 않은 나무로부터 접수의 무작위 선택은 병의 발생을 증가 시킵니다. 토양, 충매, 종자, 전염은 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모자이크병: 즙액 전염성으로 대부분의 자연 전파는 뿌리 접목에 기인합니다.
봄이나 초여름에 발생하는 잎에는 병징이 나타나나 여름에 발생하는 잎에는 병징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이병성인 품종에서는 병징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도 성장피해, 수량감소를 가져옵니다.
병징은 나무전체에 균일하지 않으며 가지에 따라 병징이 나타납니다.
전염, 접목, 아접, 대목의 영양번식 등에 의하여 전염되며 초본식물에 즙액전염이 가능합니다. 개암나무에 발생되는 Apmv는 종자 전염되며 간혹 사과 유묘에 나타나는 모자이크 증상으로 보아 종자 전염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토양이나 충매전염은 되지 않습니다.
4. 방 제
♣ 감염된 나무의 제거와 검증된 바이러스 무독 대목의 사용이 가장 효과적이며 기본적인 방제 방법입니다.
♣ 수세가 좋으면 병징이 은폐되어 피해가 크지 않으므로 수세증진에 노력합니다.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과병해/저장병 (0) | 2020.02.29 |
---|---|
사과병해/바이로이드병 (0) | 2020.02.28 |
사과병해/털뿌리병(毛根病) (0) | 2020.02.25 |
사과병해/뿌리혹병(根頭癌腫병) (0) | 2020.02.22 |
사과병해/은엽병 (0) | 2020.02.21 |